라즈나트 싱(Rajnath Singh) 인도 국방부장관이 K9자주포에 탑숭한모습@인도국방부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유진영과, 러시아(구 소련)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진영으로 양분되어 대립을 이어왔다. 구 소련체제의 몰락으로 냉전체제는 무너졌지만, 중국의 부상을 계기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대립은 과거가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전세계 군사강국으로 분류되는 10대 군사대국을 선정하여, 이들이 왜 군사강국으로 떠올랐는지를 심층, 분석한다. 군사력 비교는 국방부보고서와 국제싱크탱크 자료를 활용하여 국방예산, 병력규조, 무기체계 및 기술력, 동맹 및 군사협력, 전략적 지리적 위치, 역사적 군사적 성과, 군대문화 및 사기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이다. <편집자주>

[뉴스임팩트=최진우 전문기자] 인도는 세계 4위의 군사 강국으로, 인구와 경제 성장을 기반으로 국방력을 강화하며 국제 군사 균형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는 특히 남아시아와 인도양 지역에서 군사적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군사대국의 열망을 키워나가고 있다.

◇국방 예산과 병력 규모=2024년 기준, 인도의 국방 예산은 약 800억 달러로 세계 5위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GDP 대비 약 2.1% 수준으로, 인도는 경제 규모와 인구를 고려했을 때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국산 무기 개발과 군사 현대화를 위해 방위산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자립적 국방력을 구축하기 위해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인도는 약 140만 명의 현역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예비군과 준군사조직까지 포함하면 총 병력 규모는 350만 명에 달한다. 이는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의 병력으로, 징병제가 아닌 자발적 지원병제를 운영하고 있다.

◇무기 체계 및 핵무기=인도는 육·해·공군을 아우르는 현대화된 무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육군은 T-90 및 아르준(Arjun) 전차를 포함한 대규모 기갑 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나카(Pinaka) 다연장 로켓 시스템과 브라모스(BrahMos) 초음속 미사일을 운용 중이다.

해군의 경우 인도 해군은 항공모함 INS 비크라마디탸(Vikramaditya)와 국산 항공모함 INS 비크란트(Vikrant)를 포함한 150여 척의 함정을 운영하며, 인도양 지역에서의 해상 통제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원자력 잠수함 아리한트(Arihant)급과 K-4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통해 전략적 억지력을 갖추고 있다.

공군의 경우 인도는 Su-30MKI, 라팔(Rafale), 테야스(Tejas) 등 다양한 전투기를 운영하며, 국산 전투기 개발과 함께 공중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S-400 지대공 미사일 도입으로 방공망을 현대화했다.

인도는 약 16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아그니(Agni) 및 프리트비(Prithvi) 시리즈 미사일을 통해 운용하고 있다. 인도는 '최소 억제 전략'을 표방하며 핵무기 사용 정책에서 첫 사용 금지를 강조하고 있다.

인도해군의 항공모함 INS 비크라마디티야(INS Vikramaditya)@인도 국방부


◇동맹 및 군사 협력=인도는 미국, 일본, 호주와 함께 '쿼드'(Quad)라는 안보 협력을 통해 중국에 대항하는 전략적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와도 오랜 군사 협력 관계를 유지하며, 방위산업에서 기술과 무기를 공급받고 있다.

또한, 아세안 국가들과의 협력,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의 군사 외교 활동을 통해 글로벌 군사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다만, 파키스탄 및 중국과의 국경 분쟁은 인도의 지속적인 군사적 도전 과제로 남아 있다.

인도는 남아시아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인도양에서 전략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를 포함한 주요 군사 기지와 해군 배치를 통해 인도양의 해상 교통로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중국과의 국경 지역인 히말라야 산맥에서는 군사력을 집중 배치하며, 분쟁 가능성에 대비한 방어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역사적인 군사력 성과와 군대 문화=인도는 1947년 독립 이후 파키스탄과의 4차례 전쟁(1947, 1965, 1971, 1999)에서 군사력을 발휘했으며, 특히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카르길 전쟁과 같은 국경 분쟁에서도 강력한 군사력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유엔 평화유지군에 병력을 파견하며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서도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인도는 군사 교육 및 훈련 체계를 강화하며 병사들의 사기를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강력한 애국심을 바탕으로 한 군사 문화와 다양한 종교 및 언어적 배경을 아우르는 통합적 조직 운영이 특징이다.

인도는 세계 최대 규모의 병력과 국산 방위산업을 기반으로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 핵무기 및 첨단 무기 개발, 지역적 군사 거점 강화는 인도를 남아시아 및 인도양 지역의 주요 군사 강국으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그러나 중국 및 파키스탄과의 국경 갈등은 인도의 군사적 과제이며, 방위산업 현대화와 동맹 강화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전략적 중요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