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전승기념일에 나타난 S-400대공미사일@연합뉴스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유진영과, 러시아(구 소련)로 대표되는 사회주의 진영으로 양분되어 대립을 이어왔다. 구 소련체제의 몰락으로 냉전체제는 무너졌지만, 중국의 부상을 계기로 미국과 중국, 러시아의 대립은 과거가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전세계 군사강국으로 분류되는 10대 군사대국을 선정하여, 이들이 왜 군사강국으로 떠올랐는지를 심층, 분석한다. 군사력 비교는 국방부보고서와 국제싱크탱크 자료를 활용하여 국방예산, 병력규조, 무기체계 및 기술력, 동맹 및 군사협력, 전략적 지리적 위치, 역사적 군사적 성과, 군대문화 및 사기 등을 토대로 분석한 결과이다. <편집자주>
[뉴스임팩트=박종국 기자] 러시아는 세계 3위의 군사 강국으로, 광활한 영토와 풍부한 자원을 기반으로 전통적인 강대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냉전 시대 소련의 군사적 유산을 계승한 러시아는 현대화된 무기 체계와 핵무기를 통해 국제 군사력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방 예산과 병력 규모=2024년 기준, 러시아의 국방 예산은 약 860억 달러로 세계 4위 규모다. 이는 GDP 대비 약 4.1%에 해당하며, 미국과 중국에 비해 절대적인 금액은 작지만, 국가 경제 규모 대비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를 통해 첨단 무기 개발과 병력 유지에 투자하며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다.
러시아는 약 100만 명의 현역 병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만 명 이상의 예비군을 포함하면 총 병력 규모는 300만 명 이상이다. 징병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병력의 대부분은 국토 방어 및 유라시아 전역에서의 군사적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무기 체계 및 핵무기=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육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T-14 아르마타 전차, S-400 및 S-500 지대공 미사일 등 첨단 무기 체계를 운용한다. 특히 극초음속 미사일(아반가르드, 치르콘)의 개발은 러시아 군사 기술의 상징으로 평가된다.
해상 전력은 러시아 해군이 수백 척의 군함과 전략 원자력 잠수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극해와 흑해 등 주요 해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칼리브르 순항 미사일을 탑재한 군함은 장거리 정밀 타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
공중 전력으로는 Su-57 스텔스 전투기를 포함한 현대화된 전투기와 Tu-160 전략 폭격기가 핵심 역할을 한다.
핵무기의 경우, 러시아는 약 6000개의 핵탄두를 보유하여 세계 최대의 핵무기 보유국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등 다양한 배치 수단을 통해 운영하며, 전략적 억지력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11월 13일 중국에서 곡예 비행 중인 러시아 공군 Su-35 전투기@연합뉴스
◇동맹 및 군사 협력=러시아는 독립국가연합(CIS),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등 지역 안보 협력을 통해 구소련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며, 유라시아에서의 전략적 동맹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다만, 서방 국가들과의 대립으로 인해 국제적으로 고립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NATO의 동맹국들과의 군사적 긴장이 심화되며, 유럽과의 관계가 악화된 상태다.
러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영토를 바탕으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방어 전략을 펼치고 있다. 북극 지역에서의 군사 기지 확장은 새로운 전략적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극동 지역에 강력한 방어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병사 복지 및 군사 문화=러시아는 병사 훈련과 군사 문화에서도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강인한 체력 훈련과 전투 기술에 중점을 두며, 이념적 충성을 강조하는 군사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병사 복지와 장비 수준은 서방 국가에 비해 열악하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러시아는 핵무기와 첨단 무기 개발, 광범위한 지리적 이점을 통해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서방과의 긴장 관계와 경제 제재로 인해 국방 예산과 군사 현대화에서 제약을 받는 상황이다. 러시아의 군사력은 여전히 세계 군사 균형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국제 군사 및 외교 질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