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출처=연합뉴스

[뉴스임팩트=이상우기자] 방위사업청이 무기 체계에 쓸 국내 생산 반도체(이하 국방반도체)를 확보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파악됐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방사청은 지난달 수립한 '2025년 방위산업발전 시행계획'에 국방반도체 육성·지원을 신규 과제로 넣었다.

방위산업발전 시행계획은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의 연차별 이행과 관리 상황을 살피려는 목적에서 해마다 작성된다.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은 5년에 한 차례씩 만들어지는 중장기적 청사진, 방위산업발전 시행계획은 청사진 구현을 위한 현황 점검 절차라고 할 수 있다.

2025년 방위산업발전 시행계획에서 방사청은 "무기 체계가 첨단화, 모듈화하면서 반도체가 필수 품목이 됐다"고 했다. 모듈화는 크고 복잡한 무기 체계를 작은 단위(모듈)로 쪼개 연구·개발과 유지·보수 작업의 효율을 개선한다는 뜻이다.

이어 "2023년 12월 기준 레이더, 유도 무기, 군 통신을 비롯해 54개 무기 체계에 적용되는 반도체의 98.9%가 해외에서 들어왔다"며 "미중 기술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를 고려할 때 국방반도체 공급망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구체적으로 방사청은 국방반도체 연구·개발 활성화 차원에서 반도체 정책 유관 부서인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의 협력, 동맹국과 공조, 국방반도체 육성과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국방반도체법) 제정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국방반도체법엔 국방반도체 소재·공정·패키징 개발, 특화 설계, 상용 반도체 군용 전환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패키징은 반도체 칩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면서 단자 간 연결을 위해 전기적으로 포장하는 공정이다.

아울러 방사청은 국방반도체 공급망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신규 무기 체계에 국방반도체를 우선 도입하겠다고 했다. 국방반도체 전문기업 성장 지원책도 마련하겠다고 했다.